[책 요약] 돌파매매 전략

저자

  • systrader79, 김대현

한 줄 요약

  • 폭발적 상승 후, 여러번 조정 받고 거래량이 마를 때 사라

전체 요약

서문

  • 돌파매매(추세추종 매매) 기법은 세계 최고의 트레이더들이 공통적으로 구사하는 트레이딩 기법이다
  • 니콜라스 다바스, 리처드 돈키언, 리처드 데니스, 윌리엄 오닐, 마크 미너비니, 댄 쟁거 등
  • 돌파매매 기법은 시장의 흐름에 따라 상승 추세에 매수하고 하락할 때 매도하는 매우 단순한 투자 기법이다. 이 단순함이 오히려 매매의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자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시장은 늘 변화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에 복잡한 분석이나 예측은 오히려 판단을 흐리고 실수를 유발한다
  • 복잡한 지표나 경제 분석 없이도 시장의 움직임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따라가기 때문에, 투자자의 주관이나 감정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매매할 수 있다
  • 이 기법으로 트레이딩 하지 않더라도 돌파매매의 원리는 주가 움직임의 핵심 원리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배경지식은 매우 유용하다
  • 이 책에서는 돌파매매 기법의 기본 원리와 실제 적용 방법을 소개하고, 특별히 돌파매매 기법 중 손익비가 높고 안전한, 변동성 축소 셋업 이후에 진입하는 기법을 집중적으로 설명

Chaper 1. 돌파매매의 당위성

가치 투자 VS 기술적 투자

  • 대부분의 주식 투자하면 워런 버핏을 떠오르고 따라서 가치투자를 하겠다는 사람이 많다
  • 하지만 전미투자 대회의 우승자 명단에는 기술적 분석가가 대부분이다.
  • 그 이유는 가치 투자자들이 역량을 발휘하기에 1년은 비교적 짧기 때문이라고 생각 할 수 있으나 기간이 길어져도 시장의 노출도가 커지고 위험부담도 높아진다(오를 확률도 높아지잖아)
  • 반면 손절과 점진적 베팅을 하는 추세추종 매매자들은 하락장에서도 자산과 수익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기술적 분석에 의한 매매법 두 가지

  • 돌파매매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 상승할 때 매매하는 돌파매매, 가격이 조정을 보일 때 매매하는 눌림목 매매
  • 눌림목 매매를 할 경우 더 낮은 지점에서 살 수 있는데 왜 굳이 더 높은 매수 지점인 돌파매매를 공부해야하지?
    • 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대부분 나의 본능과 본성을 거스르는 선택을 해야 한다
    • 시장에는 추세가 존재한다. 추세상승하는 종목은 계속 상승하고 하락하는 종목은 계속 하락하려는 일종의 관성이다.
    • 눌림목에서 매수하는 경우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지만 보통 강력한 종목들은 조정조차 주지 않고 계속 오른다. 하지만 약하거나 하락하는 종목들은 눌림 이후 더 내려가기 때문에 돌파매매가 중요하다
    • 또한 눌림목 때 저가 매수를 할 경우 흔들기에 당할 수 있다.

흔들기 예시

  • 발가락만 살짝 담그는 전략
    • 전업 투자자가 아닌 우리는 선택권이 별로 없다. 대부분의 직장인은 주가가 조정을 받으면 이쯤에서 반등할 거야 하며 차트를 계속 주시할 수 없다.
    • 조정 후 반등할 때 매수하는 눌림목 매매는 거래량과 시장 분위기의 모니터링이 중요한데 우리는 그 시간에 회의에 참석해서 발표를 하거나 고객 응대를 해야한다.
    • 돌파 매매는 시장의 결을 따라 포지션을 점진적으로 구축(Accumulation) 할 수 있다.
    • 대체로 시장이 상승세일 때 성공한다.
    • 하락세일 때는 손절로 인해 자연스럽게 포지션이 줄어든다
    • 시장을 통화량, 환율, 수출입 동향, 외국인 매수량, 신용 잔고, 장단기 금리차와 같은 거시경제지표를 이용해서 예측하는 전문가가 많으나 역사적으로 짚어보면 그들의 말이 항상 맞지는 않았다.
    • 미래 가격 예측을 매크로와 재무제표로 할 수 있다면 경제학과 교수들과 회계사들은 모두 주식으로 부자가 되었어야 한다.
      • 맞는 말이긴 하나, 장기적으로는 매크로 지표가 잘 동작하지 않나? 실제로 매크로 덕분에 부자가 된 사람도 많을 텐데..
    • 몇 번 시험 삼아 매수를 해보고 수익이 나면 그 다음부터 점점 과감하게 베팅액을 늘리는 전략

돌파매매, 왜 해야 하는가?

  • 돌파매매의 장점 다섯 가지
    • 전미투자대회에서 우승한 분석가들은 대체로 롱 포지션을 돌파매매를 통해 구축한다
    • 확률적으로 롱이 숏보다 수익을 내기 유리하다. 주식은 전체적으로 오르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
    1. 돌파 매매는 시장의 결을 따라 투자하는 방식. 시장은 상승 추세 일 때 정확한 피봇 포인트를 돌파하는 경향이 강함. (피봇포인트: 특정 가격대를 통과하면 급등하는 포인트)
    2. 돌파매매가 최고인 이유는 보통 좋은 주식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상승하기 때문. 100, 200, 300% 씩 상승
    3. 리버모어는 사자마자 수익이 나는 주식이 좋은 주식이라고 말함
    4. 전업 투자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돌파매매가 최고의 방식. 전날 밤에 돌파할 때만 매수하고 미리 결정한 손실 제한 금액에 도달하면 매도하는 방식으로 자동 설정해 둔다면 편함
    5. 가격이 오를 때 매수하기 때문에 급락할 확률이 높다는 이유로 위험성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대부분 싸다고 생각해서 산 종목들은 계속해서 내려가는 것을 수도 없이 목격한다(네이버, 카카오, 삼전, 엔씨소프트..ㅠ)

Chapter 2. 돌파매매의 거장들

전설적인 파트타임 투자자, 니콜라스 다바스

  • 장중에 일절 매매를 하지 않는다. 장이 열리기 전에 해놓은 자동 매수, 매도 주문으로 처리
  • 펀더멘털과 기업 분석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압도적인 양의 리서치로 완성시킨 매매법, 윌리엄 오닐

  • 가격이 비싼 종목만을 매수하라
    • 윌리엄 오닐은 기술적 분석(손잡이 달린 컵)과 펀더멘털 분석(CANSLIM)면에서 균형이 잘 잡힌 투자자로 유명하다
  • 근거 위주의 철저한 투자
    • 그는 당시 최고의 펀드가 기술적 분석을 베이스로 하고 신고가를 갱신하는 종목만을 매수한 다는 사실을 알게 됨
    • 기존의 상식과 달리 급등하는 성장주들은 PER과 관계가 없다는 것을 파악

또 다른 기술적 분석계의 퀀트, 토마스 불코우스키

  • 높고 촘촘한 깃발형(High and Tight Flags)
    • 8주 이내에 90% 이상 급등한 종목
    • 지수 대비 상대 강도가 강한 종목만을 분석

Chaper 3 리스크 관리와 차트 설정

돌파매매 VS 추격 매수

  • 주가가 짧은 기간 안에 급등하면 차익 실현 물량이 쏟아져 나오면서 주가의 변동성이 많아진다.
  • 일정 수준 이상의 거래량과 장대 양봉만 보고 추격 매수를 할 경우 투자자는 하루에도 몇 번이나 위아래로 흔들리는 변동성 구간을 견뎌야 한다.
  • 돌파매매는 신고가를 기록하는 순간 사는 것이 아니라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이 탄탄한 베이스를 형성하고 피봇 포인트를 완성한 후에 피봇 포인트를 돌파하면 매수하는 방식이다.
  • 추격 매수를 할 경우, 높은 변동성을 감내해야 한다.
  • S&P 500도 결국 상승했으나 7년의 시간이 걸렸다(1999~2009년)

손절의 세 가지 특징

  • 손절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 IT 버블이 꺼진 후 고점에서 물린 투자자들은 원금 회복에 7년이 걸렸다.
  • 시장이 상승장이면 손절하지 않아도 될까?
    • 주식은 갖고 있으면 언젠가는 오르게 되어 있어!
    • 한전 5년간 -75%, 한국토지신탁 5년간 -67%, LG생건 1년간-43%
  • 손절은 방어용이 아니라 공격용이다
    • 점진적 베팅(Progressive Exposure)과 손절 사용

Chaper 4 패턴을 이용한 매수법

기술적 분석의 토대, 베이스

  • 손잡이가 달린 컵을 통해 베이스 찾기

베이스 예시

  • 베이스는 사실 너무 많다. 진짜 베이스를 포착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수요와 공급의 역학에 따라 베이스가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주목해야 한다.
  • 수요와 공급 관점
    1. 강력한 황소들이 주가를 올린다
    2. 차익 실현을 노리는 개인 투자자들이 매도
    3. 이만큼 올랐으니 거품이라고 생각하는 곰들이 매도
    4. 시장에 공급량이 늘어남
    5. 주가 조정
    6. 꽤 오랜 기간이 흘러 비관론이 잠잠해질 때쯤 황소들이 주가를 급격히 상승
    7. 비관론자들의 숏 커버(공매도 친 물량을 회수)로 인해 더욱더 폭발적으로 상승
    8. 너무 일찍 팔았다고 생각한 개인 투자자들이 헐레벌떡 재매수
    9. 결과적으로 고점이라고 생각했던 주가는 전문가들과 비관론자들의 예측을 비웃으며 더욱 솟구침
  • 스텐스 와인스타인의 단계 분석

  • 위에서 2단계에서만 매매한다.
    • 단타를 하더라도 여기서 해야 할듯?
    • 1단계: 추세가 없는 횡보, 박스권
    • 2단계: 강력한 상승 추세가 있는 구간. 반드시 이 구간에서 매수
    • 3단계: 추세가 소강상태로 바뀌고, 수익을 낸 기관 투자자들은 서서히 매도를 시작
    • 4단계: 하락 추세가 시작. 기관 투자자들은 이제 눈치를 보지 않고 대놓고 매도
    • 단계 분석시 고려사항
      • 52주 신저가 대비 현재 가격 상승률이 KOSPI보다 높다
      • 52주 신저가 대비 현재 가격 상승률은 최소 100% 이상
      • 강력한 거래량 급증이 선행

투자자들의 심리, 변동성 감소 패턴

  • 변동성 감소 패턴이 발생하는 이유

  • 변동섬 감소 패턴은 왜 발생할까
    • 감소 패턴의 시작은 주가의 급상승(기관 자금의 유입)
    • 어느 순간 수익 실현 구간을 만나고 조정
    • 다시 기관의 자금이 유입
    • 다시 수익 실현 구간이지만 예전만큼의 매도 물량은 나오지 않음
  • 거래량이 말랐는가?
    • 가격 변동성이 10% 이내로 감소할 때 거래량도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 이 두가지 요소가 맞아떨어지는 지점에서만 매수를 시행

1. 기업이ㅡ 호재로 기관이 들어옴
2. 조정 받고 급락
3. 바닥인줄 알았지만 더 떨어지고 저조한 거래량
4. 운좋게 바닥을 잡은 개미들의 수익 실현
5, 6. 수익 실현에 조정을 받지만 거래량은 줄어드는 상태
7. 사고자 하는 사람은 많은데 팔 사람은 없는 상태

패턴 매매의 핵심, 지수 대비 상대 강도

  • 수익률로 기네스북까지 오른 댄 쟁거 매매법의 핵심
    • 대체로 시장을 주도하는 종목들은 지수 대비 상대 강도가 강한 경우가 많다

  • 똑같이 손잡이가 달린 컵이지만 노려야 하는 컵은 B이다
  • 모더나는 코로나로 인해 S&P 500이 35% 하락했을때 오히려 100%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줌
  • 지수보다 2.5배 떨어지는 것 정도는 상대 강도로 봐도 됨

언제 사야 할까, 손잡이가 달린 컵 패턴

  • (A) 강력한 거래량을 동반한 새로운 상승 추세가 있는가?
  • (B) 패턴이 몇 주에 걸쳐 형성되었는가? (최소 5~7주)
  • (C) 지수 대비 얼마나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가?
  • (D) 변동성 감소 패턴이 있는가?
1. 1단계 박스 권에 갇힌 베이스들은 탈락
2. 2단계 상승 추세에 속한 베이스들 중 변동폭이 감소되는 베이스만 고르자
3. 매수 시점의 거래량은 거래량 5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해야 한다
4. KOSPI 지수 대비 장기와 단기 상대 강도가 모두 강한 시기여야 한다
5. 종목이 속한 산업, 섹터가 모두 강세를 보여야 한다
  • 왜 돌파 직전 거래량은 말라야 할까?

  • 심약자 제거해야 하기 때문
  • 손잡이가 달린 컵에 대한 오해
    • 매물대를 알아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 매물대는 투자자의 심리와 관련이 있다
    • 다음 중 가장 성공률이 높은 패턴은?

  • 정답은 C. 손잡이가 베이스 내에서 위쪽에 위치할수록 기존 매물대의 저항을 적게 받기 때문

  • C > B > A. 베이스의 길이가 길수록 매물대를 뚫고 올라가는 힘이 좋다. 힘이 축적되기 때문
  • 매수하면 안되는 패턴, 쐐기형 핸들

  • 쐐기형 처럼 조금씩 상승한다면 개미들을 떨굴 수가 없다
  • 이 외, Cup in Cpu, W in Cup, High and Tight, Low Cheat 등 손잡이 패턴과 유사한 친구들이 있음
  • 형성 기간과 거래량이 핵심, W 패턴

Chapter 5 마켓 타이밍

돌파매매의 핵심 원칙

  • 점진적 배팅
  • Sell into Strength : 분할 매도
  • 시장 노출을 최대한 줄여라(현금 보유 기간을 늘려라)

종목선정

  • (A) 내가 투자하려는 회사가 새롭게 도약하는 신성장 사업에 속하고 있는가?
  • (B) 시장의 평가 역시 나의 판단에 동의를 하는가? 즉 가격도 그만큼 상승했는가?
    • 비싼 주식을 사라는 얘기네
  • 스탠 와인스타인: "펀더멘털을 보지 마라"
  • 숲이 아니라 나무를 볼 것(섹터를 봐라)
  • 50일 신고가를 이용한 종목 분석
  • 업종 내 그룹 액션 분석(네이버 종목 분석 리포트)
    • 업종 내 다른 종목들이 구리면 사지말아라. 최고의 산업에 속한 최고의 선도주에만 집중해라
  • 투기꾼 떨구기, RS Shakeout
    • 흔들기가 선행되면 피봇 포인트를 돌파할 확률이 높아진다

언제 팔아야 하는가

  • 분할 매도 하는 방법
    • 매도가 어려운 이유
    • (A) 정확한 지점에서 사지 못하기 때문 : 정확한 지점에서 샀다면 수익 큐션이 4~5%는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있음
    • (B) 최고점에서 팔조가 하기 때문: 무슨 방법을 쓰든 최고점에서 팔 수는 없다.
    • 분할 매도의 장점은 어느 정도 수익을 냈기 때문에 투자자는 더 오랫동안 보유해도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 보통 3분할 매도 방식 사용
  • 다바스 박스를 이용한 매도
    • 오르는 주식은 절대 팔지 않는다

본전을 지켜라

  • 15% 이상 수익이 났다면 손절을 본전으로 끌어 올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