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fRsy4FlQQOU
채사장?
지대넓얕 시리즈로 종전의 히트를 친 대박 작가이자, 주로 인문학을 주제로 하여 팟캐스트/유투브/강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을 하는 작가이자 크리에이터(?)
부자란 무엇인가?
- 부자는 단순히 ‘부’의 크기로만 정의 할 수는 없다.
- ‘부’는 돈의 크기가 아니라 자유 + 시간 이다
- 인문학에서 경제(제테크, 투자)를 분리하는 태도는 옳지 않다고 생각. 혹은 그 반대로 모든 것이 돈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주의도 맞지 않는 다고 생각
- 80세까지 열심히 일해서 많은 ‘부’를 쌓고 83세에 죽는 인생은 우리가 바라는게 아니다. 우리가 결국 원하는 것은 자유와 시간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 자유와 시간을 돈으로 살 수 있기 때문에 모두가 부를 원하는 것이다. ‘부’의 크기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
- 그럼 얼마가 있어야 부자가 될 수 있느냐에 대한 질문은 당신이 원하는 자유와 시간이 얼마의 돈이면 살 수 있느냐는 질문으로 환원된다.
- 채사장은 이에 대한 답으로 ‘3억’ 이라고 이야기 한다(거주 할 수 있다는 공간은 있다는 가정 하에)
- 물론 거주 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너무 비싸기 때문에 가정 자체가 너무 비약적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 하지만 우리가 기어코 서울에 살려고 하는 이유도 주로 자녀 교육 때문인데, 아이의 교육 목적이 고급 노동자(대기업, 고급 공무원 등)로 만드는 것이라면 응당 그래야 하지만, 그런 것이 아니라면 굳이 서울에 살 필요도 없을 것이다.
- 채사장이 3억이라고 생각한 이유는 일반적인 한국인이 금융(주식, 투자) 지식이 있다고 한다면 연 10%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시간이 필요)하고, 3억이 있으면 매년 3천의 수익을 낼 수 있으며, 이는 월 150 정도니까 이 정도면 채사장이 원하는 자유와 시간을 살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 만약 월 150 정도씩 계속 안정적으로 들어온다고 하면, 그때부터는 우리한테 자유가 생기지 않을까? 그리고 하고 싶었던 것들을 소소히 하다보면 그것이 어느정도 수익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부양 가족이 없다는 가정 하에)
- 시간과 자유를 확보하는 삶을 생각해보자.. 어떤 삶이 펼쳐질까?
- 너무 인생을 간단히 생각하는거 아니냐라고 할 수 있지만, 복잡하다고 생각하고 포기할게 아니라 그럴 수록 단순화 해서 차근차근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복잡하게 생각하면 끝도 없다.. 코로나, 가족이 아프고, 전쟁이 일어나고 등등)
- 우선 채사장이 3억이라고 생각한 것처럼 자신만의 목표를 세워야한다.
- 채사장이 경제나 재태크에 눈을 띄게 만들게 한 책
- 공산당 선언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 주식이 유리하다: 목돈이 필요 없고, 여러번 사고 팔 수 있음
- 주식에 대한 선입견
- 1) 주식은 투기다?
- 어떤 사람은 투기 하는 마음으로 하고, 어떤 사람은 기업에 성장에 투자하는 마음으로 한다. 따라서 꼭 투기만 있는 것은 아니다.
- 2) 주식은 제로썸 게임이다?
- 역사적으로 계급 갈등을 사라지게 한 건 주식이다. 근대 사회에서는 사회 계급이 자본가/노동자로 나눠져 있다. 자본가는 생산수단(공장, 농장, 거대 자본 등)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고 노동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 노동자는 생산수단에 가서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 할 수 밖에 없음. 마르크스가 이 부분의 부조리함을 지목함.
- 하지만 결국 수정 자본주의로 오면서 ‘주주 자본주의’로 바뀌게 된다. ‘주주 자본주의’란 생산 수단을 잘게 쪼개서 여러 사람이 나눠서 소유 할 수 있게 만들어 줌.
- 따라서 주식 투자를 통해, 경영에 참여 할 권리와 배당을 받을 권리를 받게 됨. 일반적으로 경영에 참여하는 경우는 없지만. 결국 배당이 중요한데, 한국 사람들은 배당에 대해 잘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주식을 사면 기업이 발전하고 기업이 발전하면 기술과 사회 발전으로 이어 질 수 있다.
- 3) 내 시간과 자유를 확보하는 정도는 가능하지만 거부가 되려는 생각은 위험하다.
- 리스크가 높아서 레버리지를 하기 어렵다
- 주식에 너무 열광하는 것도 위험함
- 1) 주식은 투기다?
- 그래서 어떻게 투자 해야 하는가?
- 농부의 마음으로 해야 한다.
- 1. 좋은 씨앗을 골라라
- 🚫 테마주, 뭘 파는지 모르는 기업, 시가 총액이 너무 작은 기업
- ✅ 성장성, 내가 좋아하는 기업, 배당이 나오는 주식
- 2. 적절히 나눠라
- 가장 중요한 내용. 제발 나눠서 심어라
- 오르는 주식과 내리는 주식 모두 사야 항상 이기는 투자를 할 수 있다.
- 공간적: 여러 기업을 사라. 채사장은 보통 20개 기업을 삼
- 시간적: 시차를 두고 분할 매수 및 분할 매도 해라 —> 이길 수 밖에 없는 게임
- 3. 기다리기
-
-
- 조급한 사람은 항상 손실난다.
- 큰 흐름을 봐야한다.
- 현실은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지 모르잖아..?
-
- 데이트레이딩은 하지 마라 —> 시간과 자유를 빼앗김
- 그럼 자동 매매가 답일 것 같은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를 공부하고 알게 된 것들 (1) | 2025.01.03 |
---|